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제2회: 알고리즘이란?”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제2회: 알고리즘이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algorism)이란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말한다(매경시사용어사전). 통상적으로 수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문제를 풀거나 연산을 수행하기...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제2회: 알고리즘이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algorism)이란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말한다(매경시사용어사전). 통상적으로 수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문제를 풀거나 연산을 수행하기...
자치구와 행정구 <대한민국 행정구 현황> 시군구 단위 행정통계를 보면 어떤 곳에서는 강남구, 영등포구, 수원시, 성남시, 고양시 단위로 제공되고 또 다른 곳에서는 수원팔달구, 수원영통구, 성남분당구, 성남수정구, 고양일산동구, 고양일산서구 등으로 제공한다. 왜...
[ 용어해설 ] 인간은 실재를 인식할 수 있는가? 참(truth)을 알 수 있는가? 이것은 철학의 인식론에서 다루는 문제이다. 근대과학적 지식의 문제는 근대 인식론 철학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모든 까마귀는...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연재를 시작하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이 글은 2020년에 나온 글쓴이의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커뮤니케이션북스)”의 주요 내용을 소개할 목적으로 준비했다. 일전에 저자가 쓴 책을 읽은 GDSK 류근운...
[ 용어해설 ] 통계청에 따르면, '19년 우리나라 1인 및 2인 가구의 비중은 각각 30.2%, 27.8%로, 전년보다 0.9%p, 0.5%p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평균 가구원 수는 2.39명으로, 전년보다 0.05명, ’00년 3.12명에서 0.73명으로...
[ 용어해설 ]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05년 68만 7000 가구였든 서울시 1인가구는 2019년 130만 가구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주목할 점은 전체 가구 가운데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5년 20.5%에서 2015년...
법정동과 행정동, 주소유형 통합해야 한다. 한 동네 두 개 이름을 가진 동들이 있다. 사람들마다 부르는 동이름이 달라 헷갈린다. 뭐가 맞다고 서로 우기기도 한다. 한남대교 남단에 미성아파트가 있다. 어떤 이는...
도로명 주소체계와 주소정제 사업 주소체계가 갖추어 지면 이를 활용하게 된다.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마련된 지번 주소체계가 토지의 소유현황과 징세의 목적을 위한 것이었지만, 가장 활발하게 활용된 것은 사람, 사물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