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제3회: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제3회: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이란? 프로그래밍(Programming)이란 ‘프로그램을 만들다’라는 의미다. 즉 기계(컴퓨터)가 어떤 일을 처리하도록 시키기 위해서 특정 작업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제3회: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이란? 프로그래밍(Programming)이란 ‘프로그램을 만들다’라는 의미다. 즉 기계(컴퓨터)가 어떤 일을 처리하도록 시키기 위해서 특정 작업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 대한민국 소득분포 ] <상위 근로소득자 20%가 전체소득의 50% 차지> 국세청 ‘2019년 귀속 100분위 근로소득 자료분석’ 소득의 분포는 개인, 가구와 지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통계청에서 가구단위로 소득을 발표하지만 이는...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제2회: 알고리즘이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algorism)이란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말한다(매경시사용어사전). 통상적으로 수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문제를 풀거나 연산을 수행하기... 자치구와 행정구 <대한민국 행정구 현황> 시군구 단위 행정통계를 보면 어떤 곳에서는 강남구, 영등포구, 수원시, 성남시, 고양시 단위로 제공되고 또 다른 곳에서는 수원팔달구, 수원영통구, 성남분당구, 성남수정구, 고양일산동구, 고양일산서구 등으로 제공한다. 왜... [ 용어해설 ] 인간은 실재를 인식할 수 있는가? 참(truth)을 알 수 있는가? 이것은 철학의 인식론에서 다루는 문제이다. 근대과학적 지식의 문제는 근대 인식론 철학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모든 까마귀는... [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 "연재를 시작하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CT데이터사이언스연구본부장 정용찬 이 글은 2020년에 나온 글쓴이의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커뮤니케이션북스)”의 주요 내용을 소개할 목적으로 준비했다. 일전에 저자가 쓴 책을 읽은 GDSK 류근운... [ 용어해설 ] 통계청에 따르면, '19년 우리나라 1인 및 2인 가구의 비중은 각각 30.2%, 27.8%로, 전년보다 0.9%p, 0.5%p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평균 가구원 수는 2.39명으로, 전년보다 0.05명, ’00년 3.12명에서 0.73명으로... [ 용어해설 ]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05년 68만 7000 가구였든 서울시 1인가구는 2019년 130만 가구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주목할 점은 전체 가구 가운데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005년 20.5%에서 2015년... Blog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제3회: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
2019년 귀속 근로소득 분포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제2회: 알고리즘이란?”
자치구와 행정구
통계적 추론(Statistical inference) [DATA Talk]
[인공지능 알고리듬의 이해]
평균 가구원 수 2.39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 [DATA Talk]
가구와 세대 [DATA 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