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문화권 국가의 주소들 ]
좁은 길을 가리키는 ‘후퉁’은 중국의 주소 체계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한다
후퉁의 역사적, 문화적인 유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 정부와 지역 사회가 나서서 후퉁을 보호하고 복원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⑭ 최초로 호적 제도를 실시한 국가 – 중국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에서는 내전을 거쳐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정부가 대규모 도시 재개발과 행정구역 개편을 시행하면서 도로명 주소가 확산되어 나갔다. 주소 표기는 상위 행정구역에서 하위로 좁혀가는 방식으로 정착되었고, 198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표준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소 표기는 행정구역 체계와 연관성이 깊다. 중국의 행정구역 체계는 직할시/성/자치구가 최상위에 있으며, 그 아래로 시/지급시(地级市) → 구(区/县) → 로(路)/가(街)/촌(村)으로 좁혀간다. 주소 역시 이러한 체계를 따라서 ‘성 → 시 → 구 → 도로명 → 건물번호’의 순서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중국 베이징 시에 있는 <고궁박물원>의 주소를 보자.
北京市 东城区 景山前街 4号
베이징시 둥청구 징산첸제 4호
베이징시는 중앙정부직할시로 성/자치구와 동급인 가장 상위의 행정구역이다. 이 주소는 ‘직할시-구-도로명-건물번호’의 체계를 보여준다.
그런데, 중국의 주소 체계에서 눈여겨 봐야 할 것이 ‘후퉁’이다. ‘후퉁’은 좁은 길을 가리키는, 체계상 가장 하위에 위치한 단위인데, 중국 문화에서 단순한 주소상의 단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그림1> 베이징 시 후퉁의 모습
위의 사진은 베이징 스차하이풍경구 동부 진쓰타오지구(北京 什刹海景区 东部 金丝套地区)에 있는 후퉁(胡同)이다[1].
그런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정부가 대대적인 도시 현대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후퉁을 낙후된 주거 환경이자 도시의 흉물로 간주했다. 대규모 부동산 개발과 오래된 골목길의 철거가 이루어졌고, 약 40% 가량의 후퉁이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곳에서 살던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이주해야 했고, 새로 들어선 주택에는 새 주소가 부여되었다. 자연발생적인 거주 환경을 없애고 관이 주도하는 일방적인 관리 번호를 부여한 것과 다를 바 없다. 역사적으로도 낯설지 않은 통제, 통치 방식이라 씁쓸하다.
다행인 것은, 오히려 베이징 올림픽 기간 동안 전통 문화의 상징으로 후퉁이 조명 받게 되었다는 점이다. 후퉁의 역사적, 문화적인 유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 정부와 지역 사회가 나서서 후퉁을 보호하고 복원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4]
후퉁은 베이징을 중심으로 하는 북쪽 지역 도시에서 골목길을 뜻하는 용어다. 상하이, 광둥 등 남쪽에 있는 도시에서는 ‘샹(巷)’이나 ‘눙(弄)’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샹이 반드시 남쪽 도시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어서 베이징에도 샹이라는 이름이 붙은 골목길들이 있다. 즉, 후퉁/샹/눙은 큰길(街道)보다는 좁은 골목길을 가리키는 단어다.
<그림2> 베이징 시의 주소표지판
위의 사진[5]은 후퉁이 표기된 주소표지판이다. 도로명과 건물 번호만 적혀 있는데, 전체 주소는 다음과 같다.
北京市 东城区 双栅栏胡同 甲15号
베이징시 둥청구 솽찬란후퉁 자15호
주소 체계에서 후퉁은 보통 가(街)/로(路)와 건물번호(지번, 号)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 경우처럼 ‘가/로’ 없이 골목길 이름인 ‘후퉁’에 건물번호만 있는 주소도 많다. (‘甲15号’에서 ‘甲’는 한국어로는 ‘갑’ 중국어 병음으로는 ‘Jia’이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지명이나 지역 단위 앞에 사용되는 글자는 병음으로 표기하게 되어 있다. ‘甲’은 딱히 지명은 아니어서, 관행적으로 ‘갑’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다음 글에서 계속)
[1] 本金, “老而有味,北京胡同”, posted on 7 September 2019, https://www.meipian.cn/2d9izl7d?share_from=self.
[2] “후퉁(胡同)”, 科普中国 China Science Communication, posted 28 December 2017, https://cloud.kepuchina.cn/newSearch/imgText?id=6974094553648738304.
[3] Olivia Liu, “베이징 후퉁”, China Journey Guide, last updated 2025.7.20., https://www.chinajourneyguide.com/ko/beijing-hutong/.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ostal_map_of_Shanghai_1930.jpg.
[4] “옛 후통의 부활: 전통과 현대의 융합(老胡同重生 传统现代融合共存)”, 北京市人民政府, posted on 7 April 2023, https://www.beijing.gov.cn/renwen/jrbj/202304/t20230407_2991734.html.
[5] “후퉁투어:쌍자란 후퉁(咖啡水煮鱼:胡同漫游)”, 个人图书馆, posted on 7 November 2024, http://www.360doc.com/content/24/1107/13/73493751_1138725453.s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