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이 사는 곳은 어디입니까? ]
공간이 관계를 규정하고, 그럼으로써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공간을 부호로 표시한 것이 주소이며, 주소는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② 주소는 정체성이다
건축가 유현준은 그의 저서 『공간인간』에서 ‘호모 스파티움(Homo Spatium: 공간인간)’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호모 스파티움(공간인간)’은 ‘호모 사피엔스(슬기로운 인간)’, ‘호모 에렉투스(직립보행하는 인간)’, ‘호모 파베르(도구를 사용하는 인간)’에 이어 “’공간’을 잘 이용해서 발전하고 진화하는 인간”이라는 의미다. 인간은 공간을 이용하고, 만들고, 확장하면서 진화해 왔다. [1]
불을 이용하면서 모닥불을 중심으로 불빛과 온기가 닿고 맹수로부터 보호 받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었다. 동굴에 벽화를 그리면서 있는 그대로의 자연이 아니라 종교적인 공간을 만들고, 벽돌을 쌓아 벽을 세우면서 문명화된 공간을 만들었다.
<그림1> 괴베클리 테페(출처: 위키미디어 / 지도: Google 지도)
위의 사진[2]은 쾨베클리 테페 유적지로,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10세기~기원전 9세기 정도에 걸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거대한 석재들을 원형으로 배치한 구조물로 종교적인 성스러운 ‘공간’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농업 혁명이 막 시작되던 시기, 문명의 여명기에 인간은 이러한 공간을 만들었던 것이다.
불로 만들어진 공간에 수십명의 인간이 모이고, 동굴 안 공간에 수백명의 인간이 모이고, 벽돌로 쌓아올린 건축물에 수만명의 인간이 모였다. 사회가 발전하고, 문명이 발전했다. 나아가 물리적인 공간만이 아니라 가상의 사이버 공간도 만들어 냈다.
<그림2> 가상 공간에 만들어진 사무실(출처: Gather Town 홈페이지)
가상의 공간에서 일을 하고, 다른 구역으로 찾아가서 사람을 만나고, 회의실에 모여서 회의를 한다. 또 다른 가상의 공간에서는 게임이나 대규모 콘서트를 즐긴다. 현실을 모사했지만, 분명 현실이 아닌 가상의 세계에 창조된 공간이다.
인간은 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은 다시 인간을 만든다. 그렇게 인류는 공간과 함께 공진화(共進化)해 왔다.[3]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관계다. 공간은 그 공간 안에 있는 사람들의 관계를 규정한다. 공간 안 사람과 공간 밖 사람의 관계, 사람과 자연의 관계도 규정한다. 스케일이 더 커지면, 사회 속 사람들의 관계를 규정한다. 건축 공간만이 아니라 지역-지리적인 공간이 관계를 규정한다.
공간이 관계를 규정하고, 그럼으로써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공간을 부호로 표시한 것이 주소다. 주소는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다음 글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