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회가 법으로 정하다 – 영국 런던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영국에서 도로명주소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것은 1855년 대도시 관리법을 제정하면서부터다 도로 좌우의 건물에 홀수 짝수를 번갈아 붙이고, 건물 번호 뒤에 도로명을 쓰는 현대적인 주소 표기 방식이 자리잡았다...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영국에서 도로명주소를 본격적으로 도입한 것은 1855년 대도시 관리법을 제정하면서부터다 도로 좌우의 건물에 홀수 짝수를 번갈아 붙이고, 건물 번호 뒤에 도로명을 쓰는 현대적인 주소 표기 방식이 자리잡았다...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오래된 도시 파리는 구불구불하고 이러저리 난 골목길로 유명했다 그 거리와 건물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위해 파리 시내의 모든 건물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안을 고안해냈다 ⑪ 최초의 주택번호 -...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세력 확대와 식민지를 두고 치열하게 싸운 근대 유럽의 각국은 다른 국가와의 경쟁에서 이기려면 최대한의 자원을 동원해야 했다 그 대상은 1차적으로 국민과 토지였다 ⑩주택 번호의 전면적인 도입...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중세에는 왕과 봉건 영주 사이의 토지 소유 관계와 경계를 표시하는 것이 중요했다 주소가 없었기 때문에 그림으로 그리거나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해 글로 써서 표시했다 ⑨ 중세 유럽의...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서양식 센서스를 처음 시행한 로마 제국은 5년마다 인구조사를 실시했지만 이름, 출신지, 가문만으로도 개인을 식별할 수 있었기에 주소를 사용하지 않았다 ⑧ 고대 로마의 주소 서양 세계의 주소는 어떠했을까?...

[ 주소는 언제부터 있었을까? ] 고대부터 국가 운영의 근간이 되는 것은 징병과 조세였다 세금을 걷고, 병사를 징집하기 위해서 국가는 인구와 토지를 파악해야 했다 ⑦ 주소와 호적제도 국가 운영의 근간이 되는 것은...

[ 주소의 용도 ] 도로명 주소는 누구나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서, 우편, 방재, 방범 등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하는 것은 물론이고, 유통과 물류를 합리화할 수 있게 해준다 ⑥ 위치를 찾아가려면...

[ 대한민국 행정경계 중첩 사례_통계 수치를 중심으로] 이전의 포스팅에서 살펴본 것처럼 하나의 건물 혹은 공동주택 단지가 두 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쳐 있는 경계주소는 우리나라에 결코 적지 않은 숫자가 다양한 형태로...